반응형
콘티(Continuity)와 각본(Screenplay)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자주 활용되는 콘텐츠는 영상이에요.
보통 게임제작 과정에서는 해당 단어를 쓰지 않지만, 장르에 따라 업무과정에서 필요할 수도 있기에 조사해보았습니다.
콘티와 각본 둘 다 영상 제작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지만, 목적과 형식이 다른데 그 이유를 알아볼게요.
1. 각본 (스크립트, 시나리오)
- 정의: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게임 등에서 이야기의 전체적인 흐름을 글로 정리한 문서입니다.
- 구성 요소
- 대사: 캐릭터가 말하는 내용
- 지문: 장면의 배경, 분위기, 캐릭터의 행동 등을 설명하는 부분
- 장면 구분: 보통 "INT. 집 – 밤" 같은 방식으로 실내/실외, 장소, 시간 등을 표시
- 특징: 영상이 아닌 글로 표현되며 감독, 배우, 촬영팀, 미술팀 등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보통 감독이 콘티를 만들기 전에 먼저 작성되요.
2. 콘티 (Continuity, Storyboard)
- 정의: 각본을 바탕으로 한 장면별 시각적 설계도. 즉, 영상의 흐름을 그림과 함께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 구성 요소
- 컷 분할: 각 장면을 컷 단위로 나눠서 정리.
- 카메라 앵글 및 움직임: 예) 줌 인, 패닝, 롱샷 등.
- 배경과 캐릭터의 배치: 등장인물과 오브젝트의 위치.
- 간단한 대사나 효과음: 중요한 대사나 사운드가 필요하면 추가.
- 특징: 연출자가 영상 제작 과정에서 참고하는 비주얼 가이드입니다. 감독이 촬영팀, 애니메이터, 조명팀 등과 원활하게 소통하기 위해 사용되며,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쉽게 정리하면?
- 각본은 문장으로 정리된 "이야기의 대본"이고, 콘티는 그림과 컷으로 구성된 "이야기의 설계도"입니다.
- 게임으로 본다면 각본은 문서로 정리된 기획서(스토리,설정,시스템개요)고, 콘티는 설계도와 흐름도가 포함된 콘텐츠의 구체화(UI/UX, 레벨디자인, 씬구성 등) 입니다.
즉, 각본이 기획 단계에서 개념을 문서로 정리하는 것이라면, 콘티는 이를 시각적으로 구체화하여 실제 구현을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예제입니다
각본
INT. 카페 - 낮
지훈이 창가에 앉아 커피를 마신다. 창밖을 바라보며 깊은 생각에 잠긴다.지훈: (혼잣말) 이제 정말 끝난 걸까...?
콘티
컷 화면 구성 카메라 대사 및 효과
1 | 지훈이 창가에 앉아 커피를 마심 | 미디움 샷 | - |
2 | 창밖을 바라보는 지훈 클로즈업 | 클로즈업 | "이제 정말 끝난 걸까?" |
이처럼 각본은 이야기를 글로 정리하고, 콘티는 이를 영상으로 구체화하는 과정입니다!
반응형
'누구나 개발하고 디자인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해외 게임 백엔드 서버 서비스 종류, 어떤 선택이 좋을까? (2) | 2025.02.01 |
---|---|
무료 누끼 따주는 툴(웹서비스) (0) | 2025.01.23 |
USB 포맷 방식과 할당단위, 포맷 방법 (0) | 2025.01.22 |
퇴직금 많이 받는 법: 퇴직금 계산부터 퇴사 시기 선택 (1) | 2024.12.10 |
직장인 겸업금지에 대해 알아보자. 무조건 금지일까? (1)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