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

2025 캘리포니아 LA 산불 원인과 피해가 커진 이유

삼색치즈 2025. 1. 16. 11:05
반응형

2025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 지역 산불은 그 원인과 피해 확산의 배경이 복합적입니다. 주요 원인과 피해가 커진 이유를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캘리포니아

피해 상황

산불 발생 지역
LA 광역권에서 발생한 산불은 총 5건의 주요 화재로 나뉩니다

팰리세이즈 산불

급 주택가와 말리부 지역을 포함해 82.7㎢의 면적 소실, 5300채 이상 건물 파괴

이튼 산불

알타데나 지역, 55.4㎢ 소실, 4000채 이상 건물 파괴

허스트 산불

샌퍼넌도 밸리 지역, 3.1㎢ 소실

리디아 산불

매직마운틴 인근, 1.6㎢ 소실

선셋 산불

할리우드 힐스 지역에 영향을 미쳤으나 현재는 진화됨

 

피해 규모 (1월11일 기준)

총 피해 면적: 약 145㎢ (서울 면적의 약 1/4)

사망자: 공식적으로 10명 이상

대피 인원: 약 15만 3000명

전소된 건물: 최소 1만 채 이상

경제적 피해: 총 600억 달러(약 88조 원) 이상, 보험 손실액만 200억 달러(약 29조 원)

 

1. 직접적인 원인

새해맞이 폭죽놀이와 불씨 재점화 가능성

산불이 발생한 지역과 새해 첫날 폭죽놀이로 인해 발생했던 화재 지역이 겹칩니다.

당시 진압된 화재의 불씨가 남아 있다가 강한 바람과 건조한 기후 속에서 재점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과거 콜로라도, 캘리포니아에서도 종종 발생했던 사례와 유사합니다.

방화 혐의

일부 산불은 의도적인 방화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케네스 산불과 관련하여 한 남성이 방화 혐의로 구속되었습니다.

전기시설 문제

강풍으로 인해 전력 케이블이 손상되며 근처 초목에 불꽃이 튀어 화재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2. 피해가 커진 이유

자연적 요인

초목 증가와 건조한 기후

2024년 엘니뇨 현상으로 인한 폭우로 초목이 급격히 자라났습니다. 이후 건조한 날씨가 이어지며 초목이 쉽게 타는 땔감 역할을 했습니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발생하는 날씨 패턴은 '수문기후 채찍질(hydroclimate whiplash)'로 불리며, 화재 위험성을 높였습니다.

산타아나 바람

캘리포니아 사막에서 불어오는 건조하고 강한 산타아나 바람은 불길을 빠르게 확산시키고 예측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바람은 불씨를 멀리까지 옮기며 새로운 산불 발생을 유발합니다.

언덕과 협곡 지형

LA 지역의 언덕과 협곡 지형은 불길이 빠르게 확산되고 진압이 어려운 구조입니다. 좁은 도로는 대피를 어렵게 만들었습니다.

인프라적 요인

소방 인프라 부족

LA 도시의 물탱크는 국지적인 화재 진압용으로 설계되었으며, 대규모 화재 진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물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먼 거리로 물을 이동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5피트 규칙의 부재

LA 산불의 피해가 큰 주택가들이 대체로 5피트 규칙을 지키지 않은 집이 매우 많아 피해가 컸다고 알려졌습니다.

5피트 규칙은 목조주택 주변 5피트 이내의 공간에는 가연성 물질(나무, 마른 풀, 낙엽, 쓰레기 등)을 제거해야 한다는 규칙입니다.

이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불씨가 쉽게 집으로 옮겨 붙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 수칙입니다.

5피트 규칙의 중요성은 화재예방을 위하여 다음과 같습니다. 목조주택은 가연성 재료로 지어졌기 때문에 주변 환경 관리가 중요합니다. 건물 주변 5피트 안에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이 없으면 화재가 주택으로 번지는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미국의 서부와 같은 지역에서는 산불이 자주 발생합니다. "5피트 규칙"은 산불의 영향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인 예방 조치입니다. 또한 목조주택 소유자는 화재보험 가입 시 5피트 규칙 준수 여부가 평가 기준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준수하면 보험료가 낮아지거나 보험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산불 전 후

기후변화의 영향

지속되는 고온 및 건조한 기후

기후변화로 인해 캘리포니아 지역은 더 긴 가뭄과 더운 날씨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은 산불의 빈도와 강도를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비정기적인 산불 시즌

과거에는 5~10월에 산불이 주로 발생했으나, 이제는 연중 내내 산불 위험이 존재합니다.

3. 피해 규모

인명 피해

현재까지 24명이 사망하였고, 수십만 명이 대피했습니다.

재산 피해

1만2000채 이상의 건물이 전소되었으며, 고급 주택가가 포함된 지역의 화재로 인해 보험 손실액이 80억 달러(약 11조 원)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제적 손실

피해액은 총 20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LA산불 위성사진


 

이번 LA 산불은 새해맞이 폭죽놀이로 인한 불씨 재점화 가능성, 방화 및 전기시설 문제 등 인간적 요인과 초목 증가, 산타아나 바람, 언덕 지형, 기후변화 등 자연적 요인이 결합해 피해가 커진 사례입니다. 산불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기후변화 대응, 예방책 마련, 그리고 인프라 개선이 시급합니다. 우리나라를 포함 전세계 각지에서 나오는 이야기로 물부족을 대비하기 위해 비가 내릴때 물을 저장하도록 투자를 많이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

하루빨리 모든 불씨가 꺼지고 LA주민들이 일상으로 돌아왔으면 좋겠습니다.

 

미국에 목조주택이 많은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