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

MRI나 CT에서 나오지 않는 두통

삼색치즈 2025. 1. 23. 00:52
반응형

MRI나 CT와 같은 영상 검사에서 나오지 않는 두통은 대개 원발성 두통과 특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에 해당합니다. MRI나 CT에서 이상 소견이 나오지 않는 주요 두통의 종류와 대처 방법을 조사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사진: freepik

MRI나 CT에서 나오지 않는 주요 두통 종류

 

1. 긴장성 두통
가장 흔한 두통으로, 머리가 무겁고 누르듯 아프거나 띵한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로 스트레스, 자세 불균형, 피로, 심리적 요인 등이 원인입니다.
대처 방법: 장시간 앉아 있는 경우 틈틈이 스트레칭, 올바른 자세 유지,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명상, 요가 등), 진통제를 사용하되, 과도한 사용은 피함

 

2. 편두통
머리가 맥박처럼 쿵쿵 울리고 메스꺼움, 빛/소리 공포증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대처 방법: 유발 요인 파악: 특정 음식(초콜릿, 치즈, 적포도주 등),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피하기, 규칙적인 생활 습관 유지, 증상이 심할 경우 편두통 치료 약물(트립탄 계열 등) 복용, 예방 약물(베타 차단제, 항우울제 등) 고려

 

3. 군발성 두통
특정 시간대(특히 새벽)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눈물, 코막힘, 눈 충혈 등 자율신경계 증상이 동반됩니다.
대처 방법: 금연과 금주(특히 술은 강력한 유발 요인), 산소 요법(100% 산소 흡입이 효과적), 전문의 상담 후 약물 치료(에르고타민, 트립탄 등) 사용


4. 약물과용 두통(Medication Overuse Headache)
특징: 진통제나 특정 약물을 과다 복용한 경우 발생하며, 두통이 만성화되는 경우.
대처 방법: 약물 사용을 중단하거나 줄이는 것이 필수, 진통제를 장기적으로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 두통 예방약으로 대체

 

5. 경추성 두통
특징: 목의 근육 긴장이나 경추(목뼈) 문제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머리 뒤쪽이나 목 부근에서 통증이 시작됩니다.
대처 방법: 물리치료, 마사지, 도수치료, 목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 자세 교정(특히 컴퓨터 작업 시)


6. 수면무호흡증과 연관된 두통
특징: 아침에 기상 후 두통과 함께 피로감이 나타나며, 수면 중 산소 부족이 원인
대처 방법: 수면 클리닉에서 진단 후 양압기(CPAP) 사용, 체중 조절, 규칙적인 수면 패턴 유지


7. 두개내저압 또는 두개내압상승 두통
특징: 자세에 따라 두통이 발생(예: 앉거나 서면 두통이 생기고, 누우면 완화됨)
대처 방법: 두개내저압 - 뇌척수액이 부족한 경우, 충분한 수분 섭취와 침상 안정. 두개내압상승 - 전문 진단 후 필요 시 약물 치료(이뇨제 등)

 

MRI나 CT에서 이상이 없는 두통 관리의 기본 원칙

  • 일기 작성: 두통 발생 시간, 강도, 유발 요인을 기록하여 패턴 파악
  • 생활 습관 개선: 규칙적인 수면, 적절한 운동, 건강한 식단 유지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완화 활동(명상, 심호흡, 요가 등) 시도
  • 자세 교정: 특히 컴퓨터 사용 시 적정 높이와 거리 유지
  • 금연·금주: 특히 군발성 두통 및 편두통 환자에게 효과적
  • 필요 시 전문 상담: 신경과 전문의를 통해 적절한 약물 치료 및 관리 계획 수립

MRI나 CT에서 이상이 없다고 해서 두통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생활 관리와 치료를 통해 두통의 빈도와 강도를 줄이고, 필요 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고혈압 연관 두통

반응형